
국립중앙박물관 상부에 실시간 인식 센서가 있어서 관람객이 다가오면 승려가 말을 건네기도 하고 영상 속의 두 승려가 같이 대화를 하기도 합니다. 원작을 바탕으로 저희가 3D 모델을 만들었고 여기에 모션 캡쳐 기술을 활용해서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구현했습니다. 서로 다른 시대를 살아간 승려들 간의 대화도 보실 수 있고 또 시공을 넘어서 지금의 우리하고 어떤 대화를 나눌 수 있을지 상상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cPGbORI5WtY 모션 캡쳐해서 전체를 이펙트를 준 사례. 예상치도 못한 컨셉에 모션캡쳐가 들어갔다.

디자이너 Willi Williams Information Information Willie Williams designs & directs live events and concert tours. His combination of hi-tech media and lo-tech eccentricity first received acclaim through his work with U2. Their Zoo… williewilliams.com

2023년 9월 롯데칠성음료가 소주 새로 출시 1주년을 맞아 성수에 오픈한 팝업스토어. 새로구미의 돌잔치라는 확실한 기획과 동굴이라는 컨셉과 스토리텔링이 인터랙티브 콘텐츠, 기술력과 잘 버무러져 경험의 완성도를 높였다. 실제로 전시 기간 주말은 웨이팅이 2시간이고 9월 검색량 3만 건 등 우후죽순 경쟁이 치열한 성수 팝업스토어 중에서 성공적이었던 팝업이라고 총 12개의 ZONE VENUE 지하주차장을 픽 새로구미 캐릭터가 구미호라는 컨셉에 맞게 장소는 지하주차장을 선택했다고 한다. 입구 내리막으로 걸어들어가면 동굴 속으로 들어가는 느낌이 들면서 세계관과 컨셉에 과몰입하게 한다. 지하주차장이라는 의외의 장소가 미디어아트와도 동굴이라는 컨셉과도 잘 붙는다. 확실한 스토리라인 소개 새로 팝업은 모든 존이 하나..

파라다이스문화재단에서 진행하는 지원사업 Art Lab 창∙제작 지원사업 파라다이스 아트랩(Paradise Art Lab)은 예술의 현재를 탐색하고 미래 가능성을 제시하는 장으로서 동시대 예술 흐름을 반영한 테마형 지원사업입니다. 파라다이스 아트랩은 예술(Art)과 기술(Technology)의 융합을 통해 즐거움과 놀라움을 선사할 작품을 공모합니다. 이 지원사업의 가장 큰 메리트는 결과물을 유동인구가 많은 파라다이스 리조트에서 작품을 전시해 대중들을 만날 수 있다는 것일 것 같다. 파라다이스는 브랜딩을, 작가는 대중과 만날 수 있는 기회 얄루와 원우리 2023년 아트랩 페스티벌 작품 중 눈에 띈 작품 얄루와 원우리 한국 신화에 나오는 '꽃감관'에서 영감을 받은 얄루와 원우리가 파라다이스 아트랩 세계관의 정..

https://cuz-art.com/blog/media-art-popup-store-1/ [The Arts of Pop-Ups #1] 공간 속 예술, 미디어아트와 팝업스토어 - CUZ 공간 마케팅의 혁신이 된 팝업스토어(Pop-Up Store). 한정된 시간, 감각적이고 직관적인 브랜드 이미지 전달을 위한 방안으로 미디어아트가 주목받고 있다. '인스타그래머블(Instagramable)'한 공간을 ec2-3-39-214-124.ap-northeast-2.compute.amazonaws.com 브랜드 팝업이나 호텔 리조트 등 브랜드 공간을 만드는데 미디어아트가 종종 쓰입니다. 미디어아트가 브랜드 가치에 어떤 효용이 있을까요? 미디어아트의 화려하고 큰 이미지로 사진찍기 좋은, 인스타그래머블한 공간을 만들어 바..

위 영상 30초 즈음에 나오는 것처럼 움직임을 감지해 미디어가 움직이는 걸 구현할 때 쓰이는 것이 BLACKTRAX입니다. 센서로 감지한 값을 보내는 트랙킹 장비죠. 무용 무대를 예로 들면, 오른쪽 사진의 비콘이라는 장비를 무용가의 손목에 달고 움직이면 카메라와 비콘으로 위치값을 받아 손의 모양에 따라 그래픽을 반응하게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무대 디자인을 할 수 있는 것이죠. 블랙트랙에서 받은 위치값을 디스가이즈 미디어서버로 보내고 노치와 합성해 프로젝터로 보냅니다. 블랙트랙 작동방식에 대한 영상 후쿠요 라이다 센서는 한 면적만 감지할 수 있다면 블랙트랙은 3차원 공간을 더 넓게 트랙킹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차별성이 있습니다.